기업소개

01 기관현황

인프라 연혁

2006. 03

철원플라즈마산업기술연구원 개원 (비영리 재단법인)

2005~2011

기반구축 단계 (지자체연구소 육성사업 등 기반구축 추진)

2012~2019

연구개발 단계 (광역연계협력사업 등 R&D 사업 중점 추진)

2020~2030

전략적 상용화 단계 (상용기술 개발 | 기업사업화 지원 체계 )

2021. 12

국가 나노인프라 기관 지정 (산업통상자원부)

인프라 구축 현황

구축예산

960억원 (정부 475억, 지자체 431억, 민간 55억원)

연면적

본원(갈말읍) | 분원(서면) | 나노소재융합센터 (총 3,241평)

지원분야

플라즈마 장비 기술, 나노소재 기술 및 응용 부품 개발 지원

02 핵심보유기술 및 성과

4대 핵심 보유기술

플라즈마 장비기술

나노소재 기술

바이오기술 (농업)

퀀텀닷 나노기술

주요성과

지식재산권 확보

119건 (국내 99 해외 20)

기술이전

29건 (24개사)

기업유치

14개사

사업 수주성과

960억원 / 167과제

장비구축

129대 (공정 87 분석 42) *800만원 이상

03 인력구성

01 기관현황

주요 연혁

2009. 07

법인설립

2011. 01

(재)영월청정소재산업진흥원 기관명칭 변경

2018. 06

(재)영월산업진흥원 기관명칭 변경

2021. 09

운탄고도1330통합안내센터 위탁운영

2022. 06

영월군 창업보육센터 위탁운영

인프라 구축 현황

소재지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팔괴1 농공단지길 21-28

예산

9,354백만원(2023년도)

규모

영월산업진흥원 : 지상 3층, 지하 1층(연면적 4,349㎡)
수질정화신기술시험장 : 지상 2층(연면적 629㎡)
영월군창업보육센터 : 지상 2층(연면적 3,422㎡)
운탄고도1330통합안내센터 : 영월관광센터 임대

주요업무

창업지원·기업지원을 통한 실질적 · 안정적 일자리 창출
기업의 경쟁력 강화방안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지역자원을 활용한 융복합 산업발굴을 통한 성장동력발굴

입주기업

영월산업진흥원 12, 수질정화신기술시헙장 3, 영월군창업보육센터 18개 기업

보유장비

광물자원 분석 특화 장비 25종(ICP, XRF, XRD , PSA 등)

02 기업지원활동(시제품) 및 실적

2010년~2023년
추진실적 현황

* 2009년 진흥원 설립 이후, 정부 부처 및 지자체 사업 394억 원, 150개 사업 수행
* 기업경쟁력강화 86건, 일자리 창출 29건, 미래성장동력발굴 35건 수행

03 인력구성

01 시설현황

인프라 연혁

2004. 01

나노부품실용화센터 구축사업 선정 (산업통상자원부)

2007. 05

나노부품실용화 센터 준공 및 장비지원 서비스 개시

2010. 03

나노융합실용화센터로 명칭 변경

2011. 09

국제공인시험기관 자격(KOLAS) 인정 획득
소재/부품 검증 및 신뢰성 평가 37개 항목 지원

2022. 10

기술인프라지원단 나노공정기술센터로 명칭 변경

인프라 구축 현황

구축예산

646억원 (정부 439억, 지자체 204억, 민간 3억원)

연면적

7,700 ㎡ (클린룸 1,700 ㎡)

지원분야

나노소재 및 박막공정 (고품위 나노입자 및 나노박막 공정)

02 기업지원활동(시제품) 및 실적

주요성과

03 인력구성

01 시설현황

연구원 연혁

1994. 12

염색기술연구소 설립 인가

1999. 09

KOLAS 국가공인시험기관 지정

2010. 06

'슈퍼소재융합제품산업화사업'예타사업 추진

2012. 07

기관명 변경 ‘DYETEC연구원’

2017. 04

‘물없는 컬러산업 육성사업’ 예타사업 추진

2019. 08

5대 소재전담기관지정

2020. 04

소재부품기술기반혁신 테스트베드 구축

연구원 진행사업

시스템산업거점기관지원사업

탄소성형부품 설계해석 및 상용화 기반구축사업(참여)
- 주관: (재)경북하이브리드부품연구원

스마트특성화기반구축사업

4차 산업대응 하이퍼 고분자 첨단소재부품 고도화 사업 (주관)

소재산업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02 기업지원활동 및 실적

고객이 만족하는 최고 품질의 시험 인증 서비스제공

새로운 시험법 개발 · 고객맞춤분석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제공하여
타분석기관에서 대응하지 못했던 고객의 다양한 요구를 해결하고, 합리적 분석비를 통해 기업 지원

03 인력구성